본문 바로가기
교육·진학 정보

대학 순위, 대학교 순위 100 정리 (2023년, 국내 전국 기준)

by Billions: 빌리언즈 2022. 12. 15.

이번 글에서는 2023년 진학을 위한 국내 대학 순위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전국 대학교 순위 100위까지 알려드릴 예정이니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내용 잘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국내 대학 순위, 전국 대학교 순위 100

 

국내 대학 순위를 발표하는 기관에는 QS, CWUR 등이 있으며 입결 등을 중심으로 판단합니다. 아래 말씀드리는 전국 대학교 순위는 이러한 정보 등을 합산하여 복합적으로 정리한 순위인이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그러면 본격적으로 국내 대학 순위 Top 100을 알아보도록 할까요?

 

참고로 아래는 내신 등급별로 내신 2등급 대학, 내신 3등급 대학, 내신 4등급 대학, 내신 5등급 대학, 내신 6등급 대학에 대해 정리해 두었습니다. 이는 전국 기준이며 내신 2등급, 3등급, 4등급, 5등급, 6등급 별로 갈 수 있는 인서울 대학교, 수도권 대학교는 이 글 맨 하단에 별도로 정리해 두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내신 2등급 대학 (전국 기준)]

 

[내신 3등급 대학 (전국 기준)]

 

[내신 4등급 대학 (전국 기준)]

 

[내신 5등급 대학 (전국 기준)]

 

[내신 6등급 대학 (전국 기준)]

 

참고로 이번 글에서 설명드릴 TOP 100 순위는 글로벌 평가 기관 순위 등을 복합적으로 감안하여 매겨진 순위로, 보통 이러한 전문 평가 기관에서 순위를 평가하는 기준은 대중 인식과는 다른 부분들이 있습니다.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일반적인 인식 상의 순위는 보통 아래와 같습니다.

 

- 의치한: 의대, 치대, 한의대

- 서카포: 서울대, 카이스트, 포항공대

- 약수: 약대, 수의대

- 연고: 연세대, 고려대

- 서성한: 성균관대, 한양대, 서강대

- 중경외시: 중앙대, 경희대, 한국외대, 서울시립대, 이화여대

- 건동홍숙: 건국대, 동국대, 홍익대, 숙명여대

- 국숭세: 국민대, 숭실대, 세종대

- 최상위 지거국 (지방거점국립대): 부산대, 경북대

- 인아단: 인하대, 아주대, 단국대

- 상위 지거국 (지방거점국립대): 전남대, 충남대

- 광명상가: 광운대, 명지대, 상명대, 가톨릭대

- 인서울 여대, 중위 지거국 (지방거점국립대): 충북대, 전북대, 강원대, 제주대, 성신여대, 덕성여대, 동덕여대, 서울여대

- 지방 사립대: 영남대, 동아대, 원광대

- 서삼한: 서경대, 삼육대, 한성대

- 인가경: 인천대, 가천대, 경기대

 

따라서 우리가 이해하고 있는 일반적인 인식 상의 순위, 입결, 경쟁률과 전문 평가 기관의 순위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고 해석하시면 좋습니다.

 

그러면 이제 1위부터 100위까지 TOP 100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할까요?

 

대학 순위 1-20위

 

순위 대학
1위 서울대학교
2위 KAIST (한국과학기술원)
3위 고려대학교
4위 연세대학교
5위 포항공대 (포항공과대학교)
6위 성균관대학교
7위 한양대학교
8위 경희대학교
9위 UNIST (울산과학기술원)
10위 서강대학교
11위 GIST (광주과학기술원)
12위 경북대학교
13위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여대)
14위 중앙대학교
15위 울산대학교
16위 아주대학교
17위 부산대학교
18위 건국대학교
19위 인하대학교
20위 세종대학교

 

우선 1위부터 20위까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위는 모두가 잘 아시는 국내 최고 명문대인 서울대가 등극했습니다. 이어서 2위는 과학 기술 전문 대학인 KAIST, 3위와 4위는 각각 서울대 바로 뒤를 잇는 종합 대학교인 고려대와 연세대가 차지했습니다.

 

1위 서울대학교
1위 서울대학교

 

여담이지만 KAIST는 과거 동명의 드라마로도 유명했었지요. 당시 로봇 축구, 항공기 관련된 내용들로 많은 이공계 진학 희망생들의 가슴을 사로잡았었습니다. 최근에는 유니콘이라는 드라마를 통해서도 이름을 알리고 있는데요. 주인공 신하균 씨가 나온 학교가 KAIST라는 설정입니다.

 

2위 KAIST
2위 KAIST

 

5위는 KAIST와 이공계 대학 Top을 놓고 다투는 포항공대가 차지했습니다. 연세대와 고려대 사이에는 연고전, 고연전이 있다면 KAIST와 포항공대 사이에는 카포전, 포카전이 치러지죠. 6위에는 대학로에 자리 잡고 있는 성균관대가 위치해 있습니다.

 

3위 고려대학교
3위 고려대학교

 

이어서 7위는 한양대학교, 8위는 경희대학교가 차지했습니다. 9위에는 UNIST가 위치해 있는데요. UNIST는 2009년 3월 2일에 세워진 울산과학기술원으로 KAIST와 비슷한 연구 중심 대학교입니다. 다른 대학들보다는 연혁이 짧지만 빠르게 명성을 쌓아 이공계 전문대학으로서는 KAIST, 포항공대 바로 다음 정도의 수준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4위 연세대학교
4위 연세대학교

 

10위는 서강대학교, 11위는 GIST 그리고 경북대, 이화여대, 중앙대가 각각 12위부터 14위를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GIST는 광주과학기술원으로 UNIST와 비슷한 연구 중심 대학교라고 보시면 됩니다. 15위부터 20위까지는 울산대, 아주대, 부산대, 건국대, 인하대, 세종대 순으로 위치하고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5위 포항공대
5위 포항공대

 

대학 순위 21-40위

 

순위 대학
21위 전북대학교
22위 영남대학교
23위 전남대학교
24위 서울시립대학교
25위 충남대학교
26위 한림대학교
27위 강원대학교
28위 동국대학교
29위 가톨릭대학교
30위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외대)
31위 충북대학교
32위 칼빈대학교
33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34위 제주대학교 교육대학교
35위 국민대학교
36위 경상대학교
37위 성신여자대학교 (성신여대)
38위 단국대학교
39위 숭실대학교
40위 인천대학교

 

그다음 순위는 어떻게 될까요? 21위는 전북대, 22위는 영남대, 23위는 전남대가 자리 잡았습니다. 각 대학들 모두 해당 지역에서는 가장 높은 명성을 자랑하는 대학들입니다. 이어서 24위, 25위는 각각 서울시립대, 충남대가 자리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6위부터 30위는 순서대로 한림대, 강원대, 동국대, 가톨릭대, 한국외대가 위치해 있습니다. 한림대, 강원대는 둘 다 강원도 춘천에 소재하고 있으며 동국대는 서울 중구에 위치해 있습니다. 가톨릭대는 교정마다 상이한데 성심교정은 경기 부천, 성신교정은 서울 종로구, 성의교정은 서울 서초구에 있습니다. 한국외대 역시 캠퍼스가 여럿인데 서울 동대문구, 경기 용인, 인천 송도에 캠퍼스가 있습니다.

 

31위부터는 충북대, 칼빈대, 서울과학기술대, 제주대 교육대학교, 국민대, 경상대, 성신여대, 단국대, 숭실대, 인천대 순으로 위치하고 있습니다. 충북대는 1951년 9월 27일에 세워져 70년이 넘는 역사를 자랑하는 대학교로 학부생만 18,000명, 대학원생은 3,700명 정도의 규모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서울시립대, 한국외대 등이 일반적인 인식 대비 전문 기관 순위가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해당 순위가 실제 인식적 순위, 입결, 경쟁률 등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는 점 감안하고 해석하시길 바랍니다.

 

31위 충북대학교
31위 충북대학교

 

대학 순위 41-60위

 

순위 대학
41위 순천향대학교
42위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여대)
43위 부경대학교
44위 대구경북과학기술원 (DGIST)
45위 홍익대학교
46위 인제대학교
47위 경원대학교
48위 광운대학교
49위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UST)
50위 계명대학교
51위 동아대학교
52위 조선대학교
53위 강릉원주대학교
54위 한동대학교
55위 동서대학교
56위 명지대학교
57위 한성대학교
58위 신라대학교
59위 수원대학교
60위 차의과학대학교

 

41위부터는 어떤 대학들이 위치해 있을까요? 41위는 순천향대학병원으로 유명한 순천향대학교가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순천향대학병원은 주소지가 용산구 한남동이나, 순천향대학교는 충남 아산에 본교가 있습니다. 재학생이 14,000명에 달하고 설립일이 1978년 1월로 40년이 넘는 역사를 자랑하는 학교입니다.

 

41위 순천향대학교
41위 순천향대학교

 

이어서 42위부터 50위까지는 숙명여대, 부경대, DGIST, 홍익대, 인제대, 경원대, 광운대, UST, 계명대가 위치해 있습니다. 숙명여대는 무려 1906년 5월 22에 세워진 학교로 100년이 넘는 전통을 유지하고 있는 학교입니다. 서울시 용산구에 위치해 있으며 학부생이 10,000명, 대학원생은 2,000명이 넘는 규모의 학교입니다.

 

42위 숙명여대
42위 숙명여대

 

그 뒤를 이어 동아대, 조선대, 강릉원주대, 한동대, 동서대, 명지대, 한성대, 신라대, 수원대, 차의과학대가 60위까지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한동대는 1995년 3월 7일에 설립된 상대적으로 신생대학교인데요. 경북 포항에 위치해 있으며 재학생은 4,000명 정도 되는 개신교 계열 종합 대학입니다.

 

54위 한동대학교
54위 한동대학교

 

대학 순위 61-80위

 

순위 대학
61위 삼육대학교
62위 원광대학교
63위 한서대학교
64위 경성대학교
65위 우석대학교
66위 고신대학교
67위 상지대학교
68위 호서대학교
69위 우송대학교
70위 세명대학교
71위 남서울대학교
72위 대구대학교
73위 공주대학교
74위 창원대학교
75위 군산대학교
76위 경기대학교
77위 순천대학교
78위 을지대학교
79위 목포대학교
80위 대구가톨릭대학교

 

61위부터 80위는 어떤 학교들이 위치해 있을까요? 61위는 삼육대학교로 서울시 노원구에 위치한 대학교입니다. 삼육대는 1906년 의명학교로부터 유래된 학교로 일제강점기 전후로 폐교, 재개교를 거쳐 지금의 삼육대학교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현재 학부생은 7,000명, 대학원생은 1,700명 정도 규모를 보이고 있습니다.

 

61위 삼육대학교
61위 삼육대학교

 

그 뒤를 이어서 원광대, 한서대, 경성대, 우석대, 고신대, 상지대, 호서대, 우송대, 세명대가 70위까지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우송대는 대전에 위치한 사립 대학으로 1995년 3월 6일에 설립된 대학교입니다. 학부생이 10,000명 남짓, 대학원생은 600명 정도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69위 우송대학교
69위 우송대학교

 

71위부터 75위는 각각 남서울대, 대구대, 공주대, 창원대, 군산대가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76위는 경기대, 77위는 순천대, 78위는 을지대, 79위는 목포대, 80위는 대구가톨릭대가 위치해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대학 순위 81-100위

 

순위 대학
81위 상명대학교
82위 금오공과대학교 (금오공대)
83위 건양대학교
84위 선문대학교
85위 서울여자대학교 (서울여대)
86위 한밭대학교
87위 동의대학교
88위 대구한의대학교
89위 가톨릭관동대학교
90위 충주대학교
91위 대전대학교 
92위 한남대학교
93위 안동대학교
94위 경남과학기술대학교 (GNUST)
95위 한경대학교
96위 청주대학교
97위 한국기술교육대학교
98위 한국항공대학교
99위 한국산업기술대학교
100위 고신대학교

 

그럼 마지막으로 100위까지는 어떤 대학들이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81위는 상명대학교가 차지했는데요. 상명대학교는 1937년 12월 1일에 세워진 학교로 단과 대학 10개, 일반 대학원 2개, 특수 대학원 4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서울 캠퍼스는 서울 종로구, 천안 캠퍼스는 충남 천안시에 있습니다.

 

81위 상명대학교
81위 상명대학교

 

82위부터 90위까지는 순서대로 금오공대, 건양대, 선문대, 서울여대, 한밭대, 동의대, 대구한의대, 가톨릭관동대, 충주대가 자리하게 되었습니다. 이어서 91위부터 100위까지는 대전대, 한남대, 안동대, GNUST, 한경대, 청주대, 한국기술교육대, 한국항공대, 한국산업기술대, 고신대가 차지했습니다.

 

 

 

2023년 세계 대학 순위 기준

 

여기까지는 국내 대학 순위 발표 자료를 기준으로 Top 100을 살펴본 결과인데요. 세계 대학 순위를 기준으로 전국 대학교 순위를 살펴보면 어떻게 될까요? QS에서는 최근 2023년 기준 세계 대학 순위를 발표한 바 있는데요. 해당 세계 대학 순위에 이름을 올린 국내 대학은 어떤 곳들이 있는지, 그 순위는 어떤지도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세계 대학 순위 국내 순위 대학 점수
29위 1위 서울대학교 82.2점
42위 2위 KAIST (카이스트) 79.3점
71위 3위 포항공과대학교 (포항공대) 67.7점
73위 4위 연세대학교 67.0점
74위 5위 고려대학교 66.9점
99위 6위 성균관대학교 58.9점
157위 7위 한양대학교 49.4점
197위 8위 UNIST (유니스트) 44.1점
270위 9위 경희대학교 37.2점
288위 10위 GIST (지스트) 36.0점
346위 11위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여대) 31.2점
392위 12위 중앙대학교 29.0점
410위 13위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외대) 27.8점
457위 14위 서강대학교 25.7점
481위 15위 동국대학교 24.8점
488위 16위 아주대학교 24.6점
494위 17위 가톨릭대학교  24.4점

 

QS에서 발표한 세계 대학 순위 중 국내 대학만 발췌해서 보면 위와 같습니다. 역시나 서울대학교가 세계 순위 29위로 국내 대학 중에서는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한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세계 대학 기준의 상위 30위 안에 든 대학은 서울대학교 하나로, 서울대의 위상을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는 것 같습니다.

 

그 뒤를 이어서는 KAIST, 포항공대가 각각 42위, 7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국내 대학 기준으로는 2위, 3위에 달하는 성적입니다. 포항공대 바로 뒤로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가 73위, 74위로 등재되었으며 성균관대가 99위를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세계 대학 순위 기준으로 서울대, KAIST, 포항공대, 연세대, 고려대, 성균관대까지 이렇게 총 6개 학교가 세계 대학 순위 Top 100위 안에 이름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그 뒤에는 한양대, UNIST, 경희대, GIST, 이화여대, 중앙대, 한국외대, 서강대, 동국대, 아주대, 가톨릭대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참고 자료

 

아래 글에서는 내신 3등급 대학, 내신 3등급으로 갈수있는 대학 관련 정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정시, 수시, 수능 등 내신 3등급 대학, 내신 3등급으로 갈수있는 대학 관련 정보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내용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내신 3등급 대학교 (인서울, 수도권)]

 

아래 글에서는 내신 4등급 대학, 내신 4등급으로 갈수있는 대학 관련 정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인서울, 수도권 대학 중 내신 4등급 대학, 내신 4등급으로 갈수있는 대학 관련 정보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내용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내신 4등급 대학교 (인서울, 수도권)]

 

아래 글에서는 내신 5등급 대학, 내신 5등급으로 갈수있는 대학 관련 정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인서울, 수도권 내에서 갈 수 있는 내신 5등급 대학, 내신 5등급으로 갈수있는 대학 관련 정보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내용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내신 5등급 대학교 (인서울, 수도권)]

 

 

 

마무리

 

여기까지 2023년 진학을 위한 국내 대학 순위에 대해 함께 정리해보았습니다. 전국 대학교 순위 100위까지 알려드렸으니 궁금하신 분들은 참고되셨길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