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루 종일 미드 보느라 시간 낭비하지 마세요, 매일 1번 이것만 보면 나도 미드 영어 완전 정복!
영어 공부하는 사람이라면, 꼭 알아야 하는 미드 영드 단어·표현 모음
미드 박살내기 94일차: (1) Under the Wire (2) Hold it Together (3) Jam Into (4) Set Off, 무슨 뜻일까?
Under the Wire: 아슬아슬하게, 마지막 순간에
Ted: She's running a little bit late,
그녀는 조금 늦을 것 같긴 한데,
Ted: but she'll be here just under the wire.
그래도 아슬아슬하게 여기 도착할 순 있을 것 같아.
안녕하세요, 다들 수요일 아침 잘 보내고 계신가요? 평소에는 보통 3개 단어씩 가지고 오는데, 오늘은 특별히(?) 4개의 표현을 준비해봤습니다. 1석 4조...?!?!?!?! 다들 어렵진 않지만 유용하고 알고 있으면 크게 도움이 되는 표현들이니, 꼭 잘 읽어보시고 자신의 것으로 만드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첫 번째로 알아볼 표현은 바로 'Under the Wire' 입니다. 'Under the Wire' 는 어떤 의미를 가진 표현일까요? 어려운 단어들이 섞여있지는 않기 때문에, 언뜻 보기에는 전혀 어렵지 않아보입니다. 직역하면 '줄 아래에' 같이 해석해볼 수 있죠. 음... 아주 틀린 해석은 아닙니다만, 그렇게 간단하면 오늘 첫 타자로 이 표현을 준비해오지는 않았겠죠? ^^;
'Under the Wire' 는 사실 여기서 더 나아가 '아슬아슬하게' '마지막 순간에' 라는 뜻을 가진 표현이랍니다. 도대체 왜 'Under the Wire'가 '아슬아슬하게' '마지막 순간에' 라는 의미를 가지게 되는 걸까요? 그냥 보기에는 쉽게 납득이 되진 않습니다.
'Under the Wire' 가 이런 뜻을 가지게 된 이유를 알려면 무려 19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고 해요. 당시에는 경마 대회가 아주 유행을 했었다고 하는데요. 경주 마지막에 심판이 어떤 말이 이겼는지 쉽게 판단하기 위해 결승선에 줄을 걸어두었다고 해요. 경마 대회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달리기 대회 같은 것을 할 때도 결승선에 줄을 달아 놓고는 하죠? 그리고 치열한 경주 끝에 가장 아슬아슬하게 먼저 결승선을 끊는 (≒ 가장 먼저 결승선 아래로 발을 내딛는) 말 또는 사람이 경기를 우승하게 되죠. 여기서 바로 'Under the Wire', 즉 '아슬아슬하게' '마지막 순간에' 라는 뜻이 유래했다고 해요.

'Under the Wire', 유래와 함꼐 알아보니 왜 이런 뜻을 가지게 됐는지 이제 좀 아시겠죠? 늘 그랬듯이 예문과 함께 정리해보시죠 :)
[예시]
"I turned in my report just under the wire."
(나는 내 논문을 막판에 아슬아슬하게 제출했다.)
"He came here just under the wire"
(그는 여기 정말 아슬아슬하게 도착했다.)
Hold it Together: 정신을 바짝 차리다, 참고 견뎌내다
Lily: Brides are under a lot of stress before a wedding.
신부들은 결혼식 전에 엄청난 스트레스를 받곤 하지.
Lily: I held it together pretty well.
난 그래도 그걸 잘 이겨낸 편이야.
'Under the Wire'에 이어 두 번째로 알아볼 표현은 바로 'Hold it Together' 입니다. 'Hold it Together'는 어떤 뜻을 가진 표현일까요?
'훗, 너무 쉽지... 함께 붙잡다라는 표현 아닙니까!' 라고 하시는 분도 계실 수 있지만... ^^; 'Hold it Togethter'는 '정신을 바짝 차리다' '참고 견뎌내다' 라는 뜻을 가진 표현이랍니다. 신기하죠?
'Hold it Together' 가 가진 뜻을 좀 더 쉽게 이해하고 머릿 속에 넣으실 수 있게 굳이 우리 말로 가장 비슷한 표현을 찾자면 아마도 '정신줄을 잡다' 정도가 아닐까 싶습니다. 우리 말로도 '정신줄을 잡다' 라고 하면 '정신을 바짝 차리다' '어려운 상황을 잘 참고 견뎌내다' 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죠? 영어에서는 'Hold it Together' 가 우리 말의 '정신줄을 잡다' 와 유사한 표현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예시]
"Just try to hold it together for few months."
(몇달만 참고 견뎌내려고 노력해보세요.)
"I held it together pretty well when the recession came."
(경제 불황이 왔을 때, 나는 그래도 제법 잘 견디고 이겨낸 편이다.)
Jam Into: ~사이로 밀어넣다
Lily: Poor Stella,
불쌍한 Stella,
Lily: she had to jam months of crazy into just three days.
그녀는 몇달 동안 고생해야 하는 걸 3일 안에 몰아서 고생한 거잖아.
자, 드디어 오늘의 마지막...이 아닌! 세 번째로 알아볼 표현은 바로 'Jam Into' 입니다. 'Jam Into', 잼을 넣을 때 쓰는 말 아니냐고요?
'Jam'은 우리가 아는 딸기 잼, 포도 잼, 사과 잼 등 먹는 잼을 뜻할 때 쓰이는 단어인데요. 이 'Jam' 이 동사로 사용되면 '밀어넣다' 혹은 '(너무 많이 밀어 넣어) 작동하지 않게 하다' 라는 뜻으로도 사용된다는 것도 혹시 알고 계셨나요?
'Jam' 이 이렇게 '밀어넣다' 혹은 '(너무 많이 밀어 넣어) 작동하지 않게 하다' 라는 뜻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Jam' 은 경우에 따라 '막힘' '걸림' '고장남' 이라는 뜻을 가진 명사로도 사용이 될 수가 있습니다. 우리가 교통 체증을 표현할 때 'Traffic Jam' 이라는 단어를 쓰곤 하는데요. 이 때 'Jam' 이 바로 이런 의미로 (차를 너무 많이 밀어 넣어서 교통이 고장난 상태) 쓰인다고 이해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따라서 'Jam Into' 라고 하면 '~사이로 밀어넣다' 라는 뜻을 가지게 된답니다. 어렵지 않죠? 예문을 함께 보시면 더 쉽게 이해가 되실 거에요.
[예시]
"She jammed all her stuffs into that box."
(그녀는 모든 본인의 물건들을 다 저 박스 안에 쑤셔 넣어두었다.)
"Don't jam my clothes into the closet."
(내 옷을 그렇게 옷장 안에 막 쑤셔 넣지 말아줄래.)
Set Off: A. 출발하다 B. (폭탄, 경보 장치 등을) 터뜨리다, 울리다 C. (일련의 사건들을) 유발하다
Tony: You just set off my internal alarm.
당신이 제 안에 있는 경보 장치를 울리고 말았어요.
이번에는 진짜 오늘의 마지막 표현입니다! 사실 이 표현을 오늘 글에 포함을 시킬까 말까 고민을 좀 했었는데, 간단하지만 자주 사용되고 또 그만큼 중요한만큼 가볍게라도 설명을 다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이 되어 가지고 왔습니다.
마지막으로 알아볼 표현은 바로 'Set Off' 인데요. 다른 영어 표현에서도 자주 볼 수 있듯이 (1) 아주 쉬운 두 개의 단어로 구성되어 있지만 (2) 그 뜻이 의외로 직관적이지가 않아 정확한 뜻을 모르면 잘못된 해석을 할 수 있고 (3) 그러면서 심지어 여러 개 뜻을 가진...! 아주 못된(?) 유형의 표현 중 하나입니다. 이전에 다른 글에서 알아봤던 'Pull Off', 'Pull Out' 같은 표현들이 대표적인데요. 'Set Off' 도 좀 그런 면이 있습니다.
왜냐면 'Set Off'는 비슷해보이지만 조금씩 다른 여러 뜻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죠. 가장 대표적인 3가지 뜻을 꼽아 보자면 위에도 적어드렸듯이 A. 출발하다 B. (폭탄, 경보 장치 등을) 터뜨리다, 울리다 C. (일련의 사건들을) 유발하다 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위 예문에서는 B의 의미로 사용되어 "You just set off my internal alarm", "당신이 내 안의 경보 장치를 울리고 말았어요" 라고 해석될 수 있는 것이지요.
'Set Off'가 A. 출발하다 의 의미로 사용되면 "She finished packing and set off", "그녀는 짐을 다 싼 뒤 출발헀다" 같이 사용될 수 있고요. C. (일련의 사건들을) 유발하다 라는 의미로 사용되면 "The incident set off a series of copycat crimes", "그 사건은 여러 수많은 모방 범죄의 시발점이 되었다" 같이 쓰일 수 있는 것이죠.
여기서 더 나아가 '폭죽을 터트리다' 라는 표현을 할 때도 'Set off firework' 처럼 'Set Off'를 사용하게 된답니다.
'Set Off', 간단하지만 참 다양한 뜻을 가지고 있죠? 이런 표현들을 잘 숙지하는게 영어 공부에 있어서는 정말 중요하답니다 :)
How I Met Your Mother Season 4 Episode 5 주요 단어·표현 총 모음
backslide: 되돌아가다, 타락하다, 퇴보
"Robin and I already had our backslide few month ago."
(Robin과 나는 이미 몇달 전에 퇴보(*헤어졌다가 다시 만남)를 겪은 적이 있었다.)
petty: 사소한, 하찮은, 옹졸한
"Now he's being all petty about me."
(그는 내게 엄청 옹졸하게 군다.)
구독·댓글로 공부 효과 200% 노려보자!
"이런 드라마도 다뤄주시면 좋겠어요"
"혹시 이런 표현은 어떻게 해석하면 되나요?"
"영어 사전에는 없는 진짜 미국식·영국식 표현, 누구에게 물어봐야 할지 모르겠어요"
영어 공부하다 막막하신 적 다들 있으시죠?
Closed Caption 블로그 구독하시고 댓글 남겨주시면, 어떤 질문에도 1:1로 성의껏 답변 드립니다.
혼자 외롭게 고민만 하지 말고, Closed Caption 과 함께 재밌고 즐겁게 소통하며 영어 공부해봐요! :)
#영어공부혼자하기 #넷플릭스영어공부 #네이버오늘의영어회화 #네이버오늘의회화 #영어 #공부 #회화 #쉐도잉 #미드 #영드 #자막 #생활 #실전 #단어 #숙어 #표현 #독학 #생활영어 #실전영어 #리스닝 #스피킹 #넷플릭스 #토익 #토플 #오픽 #아이엘츠 #TOEIC #TOEFL #OPIC #IELTS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