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대한민국 직장인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별 평균 연봉, 평균 월급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각 연령별 평균 연봉, 평균 월급뿐만 아니라 최저 임금 인상, 연금 활용 방안에 관련된 내용도 같이 설명드릴 예정이니 함께 참고하시어 본인의 소득 수준을 개선하시고, 빠르게 안정적인 노후 준비하시는데 잘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대한민국 직장인 평균 연봉, 평균 월급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고용노동부에서는 고용노동부에서 운영하는 임금직무정보시스템을 통해 근로 소득을 받는 직장인들의 평균 연봉, 평균 월급을 집계하고 있습니다.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각 연령별로 평균 연봉, 평균 월급을 파악할 수 있으며 원하시는 경우 사업체 규모별, 산업별, 직업별, 학력별, 성별, 근속년수별, 경력년수별, 연령별 평균 연봉, 평균 월급도 확인하실 수 있으니 관심 있으신 분들은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고용노동부 임금직무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임금 정보는 최근 연도 연말까지 취합된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노동연구원 임금직무혁신센터에서 연구·분석한 2022년 최신 평균 연봉 추정치입니다.
다만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 조사 결과에서 표본 근로자 수가 60명 이상인 경우에만 취합된 자료이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희귀한 직업은 포함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 직장인 평균 연봉으로 계산된 임금 수준은 연간 임금, 즉 평균 연봉이며 정액 급여와 특별 수당이 합산된 금액입니다. 정액 급여는 기본금, 통상 수당, 기타 수당을 의미하며 특별 수당은 고정 상여금, 변동 상여금, 성과급 등을 의미합니다.
연장 근로 수당, 휴일 근로 수당과 같은 초과 급여는 불규칙하기 때문에 통계 자료에서 제외되었으며, 상용 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의 정규직 상용 근로자의 평균 연봉 기준으로 계산된 자료임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산업 분류 중 농업, 임업, 어업, 국방, 사회 보장 행정, 가구 내 고용 활동, 분류되지 않은 자기 소비 생산 활동, 국제·외국 기관은 해당 통계에서 제외되었습니다. 즉, 대한민국의 일반적인 직장인 평균 연봉을 통계내었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20대 직장인 평균 연봉, 평균 월급 (20-24세, 25-29세)
20대 초반 (20-24세) 직장인 평균 연봉: 2,827만 원
20대 초반인 20-24세 직장인 평균 연봉은 2,827만 원입니다. 4대 보험, 세금을 제외하면 실 수령액 평균 월급은 203만 원 내외로 이는 개인마다 공제 항목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하위 25%는 2,332만 원, 중간값은 2,566만 원, 상위 25%는 3,039만 원의 평균 연봉을 기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회 초년생 또는 대학을 가지 않고 바로 취업을 한 연령대로 최저 임금의 영향을 가장 직접적으로 받는 연령대이기도 합니다. 전년도에는 평균 2,549만 원 정도였는데 집계 연도에는 2,827년으로 10% 가량 평균 연봉, 평균 월급이 향상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0대 후반 (25-29세) 직장인 평균 연봉: 3,464만 원
20대 후반인 25-29세 직장인 평균 연봉은 3,464만 원입니다. 4대 보험, 세금을 제외하면 실 수령액 평균 월급은 254만 원 내외로 이는 개인마다 공제 항목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하위 25%는 2,574만 원, 중간값은 3,099만 원, 상위 25%는 3,932만 원의 평균 연봉을 기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대 후반이 되면 사회에 적응하고 결혼 또는 독립을 준비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연봉 협상이 많이 중요해집니다. 남자 분들의 경우 군 생활을 마치고 20대 후반쯤 막 취업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해당 통계치보다 연봉이 낮은 경우도 충분히 있을 수 있습니다.
30대 직장인 평균 연봉, 평균 월급 (30-34세, 35-39세)
30대 초반 (30-34세) 직장인 평균 연봉: 4,225만 원
30대 초반인 30-34세 직장인 평균 연봉은 4,225만 원입니다. 4대 보험, 세금을 제외하면 실 수령액 평균 월급은 306만 원 내외로 이는 개인마다 공제 항목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하위 25%는 2,898만 원, 중간값은 3,731만 원, 상위 25%는 4,993만 원의 평균 연봉을 기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0대가 되면 본격적으로 직장에서 인정 받으면서 점차 승진과 함께 연봉도 빠르게 상승하는 시기입니다. 본인이 어떤 기업에 재직 중인지에 따라서도 동일한 연령대 안에서도 연봉 차이가 점점 많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상위 25%, 하위 25% 평균 연봉 간 격차도 20대에 대비해서 더 큰 것을 볼 수 있습니다.
30대 후반 (35-39세) 직장인 평균 연봉: 4,942만 원
30대 후반인 35-39세 직장인 평균 연봉은 4,942만 원입니다. 4대 보험, 세금을 제외하면 실 수령액 평균 월급은 352만 원 내외로 이는 개인마다 공제 항목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하위 25%는 3,129만 원, 중간값은 4,317만 원, 상위 25%는 5,958만 원의 평균 연봉을 기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0대 후반으로 접어들면 동년배 간에도 연봉 차이가 본격적으로 벌어지기 시작합니다. 연봉 1억 원 이상인 근로자가 대한민국에 40만 명 이상 있다고 하는데, 실제로 안정적으로 자리를 잡은 근로자의 경우 해당 연령대부터 연봉 1억 원 이상을 받는 경우도 심심치 않게 등장하곤 합니다.
이 시기부터는 직장 생활을 계속할지, 아니면 회사를 나와 독립을 하거나 자기 사업을 할지 고민하시는 분들도 많아집니다. 특히 기업에서 충분한 연봉을 제공해주지 못하거나, 가정을 꾸리고 있는 경우라면 점차 미래에 대한 고민을 보다 진지하게 하게 되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40대 직장인 평균 연봉, 평균 월급 (40-44세, 45-49세)
40대 초반 (40-44세) 직장인 평균 연봉: 5,440만 원
40대 초반인 40-44세 직장인 평균 연봉은 5,440만 원입니다. 4대 보험, 세금을 제외하면 실 수령액 평균 월급은 383만 원 내외로 이는 개인마다 공제 항목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하위 25%는 3,131만 원, 중간값은 4,643만 원, 상위 25%는 6,754만 원의 평균 연봉을 기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위 25%와 상위 25%의 평균 연봉의 격차가 2배 이상 벌어지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물론 상위 25%의 평균 연봉이 6,754만 원이라고 하면 엄청 많아 보이지만 세금이 많이 늘어나면서 실 수령액은 이렇게까지 차이가 나지는 않게 됩니다.
40대 초반은 경력직으로도 가장 대우 받는 시기이면서, 자리를 잘 잡은 직장인이라면 가장 안정적인 생활이 가능한 시기이기도 합니다.
40대 후반 (45-49세) 직장인 평균 연봉: 5,646만 원
40대 후반인 45-49세 직장인 평균 연봉은 5,646만 원입니다. 4대 보험, 세금을 제외하면 실 수령액 평균 월급은 396만 원 내외로 이는 개인마다 공제 항목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하위 25%는 2,881만 원, 중간값은 4,562만 원, 상위 25%는 7,221만 원의 평균 연봉을 기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위 25%와 상위 25%의 평균 연봉 간 격차가 더 벌어져 거의 3배 가까이 차이가 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연령대가 되면 직장인으로서도 제법 높은 위치에 올라가기 때문에 어떤 직장을 다니느냐, 어디까지 승진했느냐에 따라 동일 연령대라도 임금 차이가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50대 직장인 평균 연봉, 평균 월급 (50-54세, 55-59세)
50대 초반 (50-54세) 직장인 평균 연봉: 5,666만 원
50대 초반인 50-54세 직장인 평균 연봉은 5,666만 원입니다. 4대 보험, 세금을 제외하면 실 수령액 평균 월급은 397만 원 내외로 이는 개인마다 공제 항목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하위 25%는 2,720만 원, 중간값은 4,240만 원, 상위 25%는 7,444만 원의 평균 연봉을 기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50대 초반이 되면 직장에서 안정적으로 승진한 경우, 기업의 임원이거나 그에 준하는 직급에 계시게 되는 경우도 더 많아집니다. 따라서 상위 25%의 경우에는 다른 분위보다 훨씬 더 많은 연봉을 받게 되는 것을 통계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라이프 사이클 상에서도 가장 높은 평균 연봉을 기록하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20대부터 30대, 40대를 거쳐 계속 연봉이 인상되면서 50대 초반에 평균 연봉 5,666만 원을 기록한 뒤, 50대 후반부터는 점차 소득이 줄어들기 시작합니다.
50대 초반 (50-54세) 직장인 평균 연봉: 5,196만 원
50대 후반인 55-59세 직장인 평균 연봉은 5,196만 원입니다. 4대 보험, 세금을 제외하면 실 수령액 평균 월급은 368만 원 내외로 이는 개인마다 공제 항목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하위 25%는 2,594만 원, 중간값은 3,758만 원, 상위 25%는 6,677만 원의 평균 연봉을 기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50대 후반이 되면 퇴사를 하거나 정리 해고, 재취업 등으로 인해 50대 초반 대비 평균 급여가 낮아지게 됩니다. 50대 초반 평균 급여인 5,666만 원에 비해 평균 10% 가량 급여가 낮아진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슬슬 은퇴를 준비해야 하는 나이기도 합니다.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 주택연금, 기초연금 등 퇴직금을 비롯하여 다양한 연금을 통해 본인의 노후 준비를 체계적으로 준비해나가야 하는 나이이기도 합니다.
60대 이상 직장인 평균 연봉, 평균 월급
60세 이상 직장인 평균 연봉: 4,239만 원
60세 이상 직장인 평균 연봉은 4,239만 원입니다. 4대 보험, 세금을 제외하면 실 수령액 평균 월급은 307만 원 내외로 이는 개인마다 공제 항목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하위 25%는 2,339만 원, 중간값은 2,885만 원, 상위 25%는 4,339만 원의 평균 연봉을 기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통은 이때까지 직장인으로 회사를 다니고 있다고 하더라도 대부분 65세 이전에 정년 퇴직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나이가 많이 든 만큼 한창 시절만큼 급여를 받기는 어려워 30대 초반 수준으로 평균 급여가 회귀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필수 참고 사항 (1): 최저 임금 인상
매년 초 1월이 되면 근로기준법 상 변경된 최저 시급을 기준으로 근로 계약서를 다시 작성하게 됩니다. 당연하게도 일용직, 아르바이트, 파트타임도 이에 포함됩니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의 경우에는 최저 시급 변경에 맞춰 1월 연초에 재직 중인 직원들의 연봉 협상을 새로 진행하나 소기업이나 작은 가게의 경우에는 이를 제때 지키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내년도 최저 시급을 잘 파악한 뒤 본인의 연봉, 월급 인상분을 잘 생기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인상되는 최저 시급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글을 참고 바랍니다.
필수 참고 사항 (2): 노후 준비 (국민연금, 개인연금, 퇴직연금, 주택연금, 기초연금)
앞서 말씀 드린 것처럼 50대 전후가 되면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 주택연금, 기초연금 등 다양한 연금 제도를 활용하여 본인의 노후를 체계적으로 준비하기 시작해야 합니다.
옛날 대비 연금 제도가 점차 발전하고 있고 많이 안정화가 되었기 때문에, 연금 제도만 잘 활용해도 안정적인 노후 생활을 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됩니다.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 주택연금, 기초연금 등을 통한 체계적인 노후 준비 방법에 대해 아래 글에 자세히 설명해두었으니 은퇴를 앞둔 50대 뿐만 아니라 30-40대 분들도 장기적인 관점에서 꼭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노후 준비는 일찍 시작하는 것이 무조건 유리합니다.
마무리
여기까지 대한민국 직장인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별 평균 연봉, 평균 월급에 대해 함께 살펴보았습니다. 말씀드린 것처럼 각 연령별 평균 연봉, 평균 월급뿐만 아니라 최저 임금 인상, 연금 활용 방안에 관련된 내용도 설명드렸으니 본인의 소득 수준을 개선하시고, 빠르게 안정적인 노후 준비하시는데 잘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용점수별 등급, 신용등급 점수표, 무료 조회, 신용카드 발급 기준 (0) | 2022.11.18 |
---|---|
20대, 30대 분위별 평균 자산, 평균 소득 (상위 20%, 하위 20%) (0) | 2022.09.30 |
세금 우대 저축 상품, 비과세 한도, 가입 은행 (새마을금고, 농협, 수협, 산림조합) (0) | 2022.09.28 |
비과세 종합 저축, 비과세 저축 한도, 가입 대상 (0) | 2022.09.26 |
모범납세자 선정 기준, 혜택, 신청, 확인, 증명서, 표창 (0) | 2022.09.21 |
댓글